<대구지하철 운행 중단..전력 차단기 화재가 원인>(종합)
2008년 02월 23일 (토) 01:45 연합뉴스
(대구=연합뉴스) 홍창진 기자 = 22일 발생한 초유의 대구지하철 2호선 운행 중단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고압전류를 낮춰 지하철 선로에 공급해 주는 변전소의 전력차단기 화재로 확인됐다. 대구지하철공사는 이날 밤 만촌역에서 사고원인 설명회를 갖고 "22일 오후 6시55분께 2호선 만촌역 지하 1층에 위치한 변전소 내 전력차단기가 불에 탔다"고 밝혔다. 지하철공사 전기기계팀 관계자는 "사고원인을 조사한 결과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 중 차단기가 원인 모르게 과전류로 소손을 입었다"며 "이로 인해 선로와 열차에 정전이 발생해 운행을 멈췄다"고 설명했다. 이 관계자는 "구체적인 화재원인은 전력 차단기를 분해해 부품 하나하나를 정밀조사해 봐야 알 수 있을 것"이라며 "이 작업에 3~4일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"고 말했다. 지하철공사 측은 전력차단기가 불탄 원인에 대해서 누전 때문일 가능성과 `과부하', 쥐같은 동물에 의한 `배전선 훼손' 등 다양한 가능성을 놓고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. 또 공사는 23일 경찰과 합동으로 변전소 내 화재원인 등에 대해 정밀감식을 실시할 예정이다. 만촌역내 변전소는 한국전력의 효목변전소로부터 22만6천V의 고압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1천500V의 직류로 전환해 역사내 선로에 보내는 설비이다. 교실 2개 넓이의 만촌역 변전소는 변압기를 비롯해 전력차단기 등 변전기기로 가득 차 있으며, 스위스 제품인 전력차단기는 대당 1천만원 정도로 변압기에 과부하가 걸릴 때 자동 차단하는 보호장치이다. 전력 차단기의 불은 변전소 내 화재감지기가 작동, 이산화탄소(CO2)를 분사해 꺼진 것으로 나타났다. 한편 대구지하철 2호선의 26개의 역사 중 10개 역에 변전소가 설치돼 있으며 만촌역 변전소는 범어.수성구청.담티.연호역 등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. |
'신문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낙뢰-정전 ? 대구 지하철 중단...公社-한전 `책임공방'' (0) | 2008.03.08 |
---|---|
토네이도와 낙뢰가 동시에? 논란의 사진, 진위 판명 (0) | 2008.02.29 |
벼락 맞을 통신업체, 버틸걸 버텨야지요...(구문기사) (0) | 2008.02.22 |
산림청, 봄철 산불방지 비상체계 돌입 (0) | 2008.02.22 |
누전으로 인한 축사화재 76% (0) | 2008.02.20 |